맨위로가기

안나 페트로브나 황태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나 페트로브나(1708–1728)는 러시아 제국의 표트르 1세와 예카테리나 1세의 딸이자 엘리자베타 페트로브나의 언니이다. 4개 국어에 능통하고 지적인 안나는 스웨덴의 카를 프리드리히 폰 슐레스비히홀슈타인고토르프 공작과 결혼하여 아들 표트르 3세를 낳았다. 1728년 킬에서 출산 후유증으로 사망했으며, 상트페테르부르크의 페트로파블롭스키 대성당에 묻혔다. 그녀의 남편은 안나를 기리기 위해 성 안나 훈장을 설립했고, 안나 페트로브나는 로마노프 왕가의 후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황녀 - 타티야나 니콜라예브나 여대공
    타티야나 니콜라예브나 여대공은 러시아 제국의 마지막 황제 니콜라이 2세와 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 황후의 둘째 딸로, 미모와 헌신적인 성품으로 알려졌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 적십자 간호사로 활동하다 러시아 혁명 후 가족과 함께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하고 러시아 정교회에 의해 성인으로 추대되었다.
  • 러시아의 황녀 - 샤를로테 크리스티네 폰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공녀
    샤를로테 크리스티네 폰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공녀는 독일에서 태어나 러시아 황태자와 결혼했으나 남편의 불륜과 건강 악화로 1715년 사망했다.
안나 페트로브나 황태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반 아돌스키의 초상화
이반 아돌스키의 초상화
이름안나 페트로브나
전체 이름}}
출생1708년 1월 27일
출생지모스크바, 러시아 차르국
사망1728년 3월 4일 (20세)
사망지킬,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신성 로마 제국
매장지상트페테르부르크 성 베드로-바울로 대성당
왕조로마노프 왕조
가문
아버지표트르 1세
어머니예카테리나 1세
결혼과 자녀
배우자카를 프리드리히 1세, 홀슈타인-고토르프 공작 (1725년 5월 21일 결혼)
자녀표트르 3세
작위
작위홀슈타인-고토르프 공작부인
재위 기간1725년 5월 21일 – 1728년 3월 4일
기타

2. 생애

1708년 1월 27일 모스크바에서 표트르 1세예카테리나 1세의 첫째 딸로 태어났으며, 옐리자베타 페트로브나의 언니이다. 부모가 정식으로 결혼하기 전 태어나 사생아였으나, 1712년 부모의 결혼으로 적출 자녀가 되었다. 안나는 영리하고 교육을 잘 받아 프랑스어, 독일어, 이탈리아어, 스웨덴어를 유창하게 구사했다.

1724년 스웨덴 칼 12세의 조카 카를 프리드리히 폰 슐레스비히홀슈타인고토르프 공작과 약혼했다. 뉘스타드 조약 체결로 러시아가 스웨덴 내정에 간섭하지 않기로 약속하면서, 스웨덴 왕위 계승은 실현되지 않았다.

1725년 1월 표트르 1세 사망 당시 안나를 후계자로 지명했다는 주장이 있지만, 확증은 없다. 1725년 5월 21일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카를 프리드리히와 결혼했고, 카를 프리드리히는 예카테리나 1세가 신설한 최고 비밀회의에 참여했다.

1727년 예카테리나 1세 사망 후 표트르 2세 즉위 과정에서, 카를 프리드리히 공작이 알렉산드르 멘시코프와의 갈등으로 권력에서 밀려나면서 안나의 지위도 불안정해졌다. 1727년 7월 25일 남편과 함께 홀슈타인로 철수했다.

1728년 2월 21일 훗날 표트르 3세가 되는 카를 울리히를 출산했으나, 1728년 3월 4일 산욕열로 사망했다. 안나는 죽기 전 부모의 유해가 있는 상트페테르부르크 페트로파블롭스키 대성당에 매장해달라는 유언을 남겼고, 1728년 11월 12일 유해가 페트로파블롭스키 대성당에 매장되었다.

2. 1. 초기 생애

1708년 1월 27일[1]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표트르 1세예카테리나 1세 사이에서 태어났다. 안나는 두 사람 사이에서 태어난 넷째 아이이자 둘째 딸이었지만, 안나보다 먼저 태어난 형제자매들은 모두 어린 나이에 사망했다. 1709년에는 훗날 러시아의 황제가 되는 여동생 옐리자베타 페트로브나가 태어났다. 안나와 옐리자베타는 부모가 정식으로 결혼하기 전에 태어났지만, 1712년에 부모가 결혼하면서 적출 자녀로 인정받았다.

어린 시절, 안나는 표트르 1세의 여동생인 나탈리아 알렉세예브나와 알렉산드르 멘시코프의 집에서 자랐다. 사생아로 태어났음에도 불구하고, 1711년 3월 6일에는 "공주"(차레브나) 칭호를, 1721년 12월 23일에는 "황태녀"(체사레브나) 칭호를 받았다.

표트르 1세는 러시아 제국을 위한 유럽 동맹을 맺기 위해 자신의 딸들을 외국 왕자들과 결혼시킬 계획을 세웠다. 이러한 계획에 따라 안나와 옐리자베타는 문학, 작문, 자수, 춤, 예절 등을 배웠다. 안나는 지적이고 박식한 소녀로 성장하여 프랑스어, 독일어, 이탈리아어, 스웨덴어 등 4개의 외국어를 구사했다.

어린 나이에도 안나는 수줍음이 많은 성격이었다. 한 목격자는 전통적인 부활절 키스를 주고받는 동안 일어난 재미있는 일화를 묘사했다. 홀슈타인고토르프의 카를 프리드리히가 14세의 안나에게 키스하려 하자, 안나는 당황하여 얼굴이 빨개졌지만, 옐리자베타는 바로 입술을 내밀어 키스를 받았다고 한다.

러시아 궁정을 방문한 외국인들은 안나의 아름다움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검은 눈을 가진 안나는 금발의 여동생 옐리자베타보다 아버지와 더 닮았으며, 침착하고 지적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한 동시대인은 안나를 "아름다운 몸에 아름다운 영혼을 지녔고 ... 외모와 매너 모두 [아버지]와 완벽하게 닮았으며, 특히 성격과 정신 면에서 ... 그녀의 다정한 마음씨가 이를 돋보이게 했다."라고 묘사했다.

2. 2. 결혼과 정치적 역할

1724년 스웨덴칼 12세 국왕의 조카였던 카를 프리드리히 폰 슐레스비히홀슈타인고토르프 공작과 약혼했다. 안나 페트로브나는 스웨덴의 왕위 계승 과정, 덴마크가 차지하고 있던 슐레스비히를 탈환하려는 계획에서 러시아의 지원을 획득하려는 방안을 구상했다.[3] 하지만 뉘스타드 조약의 체결을 계기로 러시아가 스웨덴의 내정에 간섭하지 않겠다고 약속하면서 이러한 구상은 실현되지 않았다.

1725년 1월에 표트르 1세 황제가 사망했다. 표트르 1세는 자신의 첫째 딸인 안나 페트로브나를 후계자로 지명했다는 역사가의 주장이 있지만 확증은 없다고 여겨지고 있다. 같은 해 5월 21일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카를 프리드리히와 결혼했다. 카를 프리드리히는 예카테리나 1세 황제가 신설한 최고 비밀회의에 참여했다.

1727년에 예카테리나 1세가 사망하면서 표트르 2세가 러시아의 새 황제로 즉위했다. 이 과정에서 카를 프리드리히 공작이 러시아 황실에서 권력을 행사하고 있던 알렉산드르 멘시코프와의 갈등을 빚게 되면서 안나 페트로브나의 지위가 불안정해졌다. 결국 안나 페트로브나는 1727년 7월 25일에 남편과 함께 홀슈타인에 위치한 로 철수하게 된다.[4]

2. 3. 킬로의 이주와 죽음

1727년에 예카테리나 1세가 사망하면서 표트르 2세가 러시아의 새 황제로 즉위했다. 이 과정에서 안나 페트로브나의 남편 카를 프리드리히 공작이 러시아 황실에서 권력을 행사하고 있던 알렉산드르 멘시코프와의 갈등을 빚게 되면서 안나 페트로브나의 지위가 불안정해졌다. 결국 안나 페트로브나는 1727년 7월 25일에 남편과 함께 홀슈타인에 위치한 로 철수하게 된다.[1]

상트페테르부르크를 떠나 킬에 도착했을 때, 카를 프리드리히는 다른 여자들과 어울리며 임신한 아내를 홀로 내버려두는 등 무례한 행동을 보였다. 안나는 언니인 옐리자베타 페트로브나에게 슬픔을 담은 편지를 보내기도 했다.[1]

안나 페트로브나는 1728년 2월 21일에 훗날 러시아의 표트르 3세 황제가 되는 아들 카를 페터 울리히를 출산했으나,[1] 출산 후유증인 산욕열로 인해 1728년 3월 4일에 사망했다.[1]

Штелин, Якобru의 회고록에 따르면, 안나는 아들의 탄생을 축하하는 불꽃놀이를 추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창가에서 구경하다가 감기에 걸려 고열로 사망했다고 한다.[4]

안나 페트로브나는 죽기 직전에 자신의 부모 유해가 매장된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위치한 페트로파블롭스키 대성당에 매장해달라는 유언을 남겼다.[1] 1728년 11월 12일에는 안나 페트로브나의 유해가 페트로파블 대성당에 매장되었다.

3. 유산

안나 페트로브나는 아들 표트르 표도로비치를 통해 후대 러시아 통치자들의 조상이 되었다. 그녀를 기리기 위해 남편 카를 프리드리히 폰 슐레스비히홀슈타인고토르프 공작이 설립한 성 안나 훈장은 정의, 경건함, 충실함을 사랑하는 이들에게 수여되었으며, 훈장의 축일은 2월 3일이다.[1]

3. 1. 가계



표트르 1세예카테리나 1세의 첫째 딸로, 1708년 1월 27일 모스크바에서 태어났다. 옐리자베타 페트로브나의 언니이다. 부모가 정식 결혼 전에 태어나 사생아였으나, 1712년 부모의 결혼으로 적녀가 되었다.

카를 프리드리히 폰 슐레스비히홀슈타인고토르프 공작과의 사이에서 아들 하나를 두었다.

  • 표트르 표도로비치 (1728년 2월 21일 ~ 1762년 7월 17일): 1739년 아버지의 사망으로 홀슈타인고토르프 공작이 되었으며, 러시아와 스웨덴 왕위 계승자로 여겨졌다. 이모 엘리자베타 페트로브나 사후 러시아 제국 황제가 되었고, 예카테리나 2세의 남편이었다. 안나 페트로브나는 예카테리나 2세를 제외한 후대 러시아 통치자들의 조상이다.

3. 2. 성 안나 훈장

성 안나 훈장(Орден Святой Анны|오르덴 스뱌토이 안느ru)은 안나 페트로브나를 기리기 위해 1735년 2월 14일 안나의 남편이 설립한 홀슈타인 및 러시아 기사단 훈장이다. 훈장의 모토는 "Amantibus Justitiam, Pietatem, Fidem" ("정의, 경건함, 충실함을 사랑하는 자에게")였다. 훈장의 축일은 2월 3일이다.[1]

참조

[1] 서적 La grande encyclopédie: inventaire raisonné des sciences, des lettres et des arts par une Société de savants et de gens de lettres https://www.google.f[...] Société anonyme de la Grande encyclopédie 1885
[2] 웹사이트 The Fascinating Life Of Anna Petrovna https://www.salonpri[...] 2022-08-02
[3] 서적 The Reforms of Peter the Great: Progress Through Coercion in Russia M.E. Sharpe
[4] 도서 "[https://royallib.com/book/milnikov_aleksandr/petr_III.html {{lang|ru|Петр III. Повествование в документах и версия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